|
http://ebook.wku.ac.kr/shop/books.php?pagecase=view&gccode=001007000&g_num=1086
인문학 연구 21집 3호
| 이혜경 |
기호학적 구조를 적용한 의사소통 수업 전략 연구
– 읽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|
| 김치완 |
제주(濟州)ㆍ유구(流求) 표류 난민의 신분 위장과 경계인 의식 |
| 박성호 |
동북아시아 영화콘텐츠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연구
– 한국의 지명을 제목으로 한 장률의 영화를 중심으로 |
| 이원희 |
박동화 희곡의 사회생태주의 의식 |
| 吉岡浩人 |
説経節?さんせう太夫?の考察
– 説経節?阿弥陀胸割?との比較を通して |
| 석미현 |
당군의의 인생관과 문학치료 |
| 羅海燕
林承坯 |
薊州 《里黨藝文存略》 及其學術史意義 |
| 김남석 |
김재철의 『조선연극사』를 통해 본 연극 양식(style)의 생성 과정과 연극사 기술의 문제의식에 관한 연구 |
| 정진희 |
현대 한국화에 나타난 오방색의 표현 연구 |
| 신지원 |
김종삼 시의 미의식 연구
– 소리와 음악의 인지 특성을 중심으로 |
| 유승섭 |
<大學公議>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전략과 지도 방안 |
| 장계수 |
조선말기 瀟湘八景圖의 제작양상과 의미
– 소상팔경도와 시의도의 조합을 중심으로 |
|